맞춤형 보호 강화, 안전망 확충, 지역사회 연계 제도적 지원 제안
X
밥상공동체복지재단, 기후위기 취약계층 전담기관 개원./ 사진=밥상공동체복지재단
밥상공동체복지재단이 창립 27주년을 맞아 지난23일 사무국을 이전하고 기후위기 취약계층 전담 기관을 선포했다.
대부분 고령인 데다 신체적 경제적 한계로 인해 극단적인 기후위기에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보호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재단은 우선 추위 및 더위를 피할 수 있는 계절 쉼터를 제공해 온열질환과 혹한기 추위 피해를 최소화한다.
거동이 어려운 독거어르신에게는 IoT 기기를 활용한 비대면 돌봄을 제공해 민간단체 차원의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영양 가득한 급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후위기 피해지역 농산물을 활용하는 등 더 넓은 방면의 취약계층을 살필 전망이다.
극단적인 기후위기가 지속될수록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가 필수적이지만 취약계층은 이러한 대처 능력이 더딜 수밖에 없어 기후재난 대비 교육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자립형 기후복지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일상적인 대응 방법을 계속해서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기후위기의 일상화 속에서 ESG 실천 운동을 제공할 예정이다.
재단은 이 같은 사업 진행 시 전문적인 운영을 위한 적합한 위치와 구조를 고려해 건물과 공간을 조성 이전했다.
새롭게 이전한 공간 1층은 계절 쉼터, 무료급식소, 나눔곳간 및 실버기부카페, 법인사무처가 들어섰다.
2층은 IoT상황실, 기후재난대비교육장, 자원봉사자실, 회의실, 섬김이공간으로 활용하며, 3층은 하늘정원 등으로 조성했다.
밥상공동체·연탄은행 설립자 허기복 목사는 "더 많은 지역사회 어르신을 다양한 방면으로 살피기 위해 사무실 이전을 계획했다"며 "우리 주변의 기후위기 취약계층은 언제나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한 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X
밥상공동체복지재단, 기후위기 취약계층 전담기관 개원./ 사진=밥상공동체복지재단
이날 이전 개원식은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식전 공연에 이어 명사 축사, 후원기증식, 제막식 등으로 진행됐다.
밥상공동체복지재단은 1998년 외환위기 당시부터 민간 자원을 통한 시민운동으로 전국에 사랑의 밥과 연탄을 나누며 복지 사각지대를 위한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있다.
지난 27년 동안 무료급식 144만8천411명, 해외석탄지원 1만5천61t(8천106가구), 연탄나눔 8천344만8천867장(50만3천363가구), 자원봉사 54만3천602명, 쌀나눔 23만3천878kg(3만7천727가구), 취업지원 2천935명, 노숙인 쉼터 입소 3만994명, 아동·청소년 학습지원 4만3천895명 등 지원 활동을 펼쳤다.
또 원주, 서울, 부산, 전주 등 전국 31개 지역에 연탄은행을 설치하고, 민간운동으로 밥상공동체종합사회복지관(2013년)과 북원노인종합복지관(2023년) 등도 운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