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천570명 고용 유발 효과 기대…부산상공회의소 전문가 용역 결과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 "지역 경제계 차원에서 HMM 부산이전 지원할 것"
X
HMM 본사가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부산은 물론 전국적으로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고용유발 효과가 나타나고 부산의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는 연구 용역 결과가 나왔다.
14일 부산상공회의소가 전문가 용역을 거쳐 작성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HMM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5년간 생산유발효과 11조2천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조4천억원 등 15조6천억원과 고용유발효과 2만1천300명으로 분석됐다.
이 가운데 부산에는 생산유발효과 7조7천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조원 등 10조7천억원과 고용유발효과 1만6천명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HMM 본사가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사옥을 신축할 경우 지역에 미치는 경제효과는 상당할 전망이다.
50층 규모 지능형 건물을 건축한다고 가정하면 생산유발효과 1조3천억원, 부가가치 유발 5천179억원 등 1조8천억원이 넘는 경제적 파급효과와 4천570명 고용유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HMM 본사 부산 이전의 정성적 경제효과로는 ▲ 연관산업 및 해운 클러스터 활성화 ▲ 일자리 창출 및 고급 인재 유입 ▲ 해운물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서 부산의 도시 위상 강화 ▲ 해양산업 기반 시설 및 관련 혁신 생태계 촉진 ▲ 국토 균형 발전 등이 제시됐다.
X
HMM 부산이전 효과 설명하는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은 14일 부산상의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HMM 본사 부산 이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부산상의는 싱가포르, 로테르담, 상하이 등 글로벌 해운항만 도시 개발 사례를 통해 HMM과 같은 해운 대기업 유치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이 될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부산을 해운물류 중심도시로 성장시킬 수 있는 각종 행정특례, 세제 혜택, 이전 비용 및 연구·개발(R&D) 지원, 특별 해양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을 구체화하고, 해사법원 설립에 대한 근거를 담자는 것이다.
HMM 본사 이전에 반대하는 육상노조를 설득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 사전 소통 및 정례 협의체 구성 ▲ 일정 기간 거점 근무나 원격 근무를 병행할 수 있게 하는 선택형 정착지원 및 복지 확대 ▲ 정부ㆍ기업ㆍ노조 상호 간의 상생협약 체결 ▲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용 등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정부, 기업 노사, 부산시, 지역 정치권, 부산상의, 정책금융기관 등 이해관계자가 모두 참여하는 통합 거버넌스 형태의 'HMM 부산 유치 추진단' 구성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하고 "HMM 본사 부산 이전은 지역에 천문학적인 경제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만큼 지역 상공계는 부산상의를 중심으로 총력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양 회장은 또 "국내 14개 주요 선사 가운데 13개가 서울에 있고 SM상선만 부산에 있다"면서 "HMM 본사 부산 이전은 다른 선사들의 부산이전 교두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