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전국적 민족항쟁"
 
X
양림교를 건너는 시위대열 펜 일러스트(영화 '이름없는 별들')./ 사진=국가보훈부
 
 
국가보훈부는 3·1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전국적 항일운동인 '광주학생독립운동'을 '2025년 11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돼 1930년 3월까지 전국으로 확산한 대규모 학생운동으로 3·1운동, 6·10만세운동과 함께 3대 독립운동으로 평가된다.
이 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있었던 광주고등보통학교의 한국인 학생과 광주중학교의 일본인 학생들 간의 충돌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됐다.
당시 나주역 충돌에 대한 일제의 부당한 처리에 대해 광주고등보통학교 학생들의 분노는 최고조에 달한 상태였다.
특히 11월 3일, 일요일임에도 일왕 생일인 명치절 등을 기념하기 위해 등교해야 했던 광주고등보통학교 한국인 학생들은 광주중학교 일본인 학생들과 다시 충돌했고, 이는 대규모 항쟁과 가두시위로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
광주에서 시작된 학생운동은 11월 중순부터 전국 각지로 퍼져나가 목포, 나주, 서울 등에서 학생들이 동조 시위를 벌였다.
특히 서울에서는 12월 9일 학생들의 대규모 연합시위가 일어났고, 일제는 경찰 2천여 명을 동원해 학생 1천200여 명을 단속했다.
1930년 1월부터 3월까지는 전국 각지의 학교에서 시위가 이어졌고, 이 소식이 해외 한인사회에 알려지자 중국, 만주, 일본, 러시아, 하와이, 쿠바 등지의 한인들도 동조 시위에 나섰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청년들의 각성으로 이어져 1930년대 민족운동 발전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됐고 해외 한인사회의 단합과 독립운동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보훈부는 설명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