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산지역에서 배부된 선불카드에 금액이 적힌 모습./ 사진=독자 제공

부산시가 민생회복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금액을 표시해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일선 지자체 담당자들이 일일이 스티커를 붙여가며 카드 지급에 나섰다.

23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18만원, 33만원, 43만원 등 3가지 금액을 카드 상단에 표시한 소비쿠폰 선불카드를 지급하고 있다.

그런데 카드 지급 사흘째에 접어들면서 금액을 표시한 게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카드에 표시된 금액을 보면 상위 10%, 차상위계층과 한부모 가족, 기초생활수급자 등 개인의 소득 수준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재명 대통령의 질타에 행정안전부는 문제의 선불카드에 스티커를 붙이는 방안 등을 마련했다.

시 관계자는 "광주시의 소득별 색상 구분과 달리 부산은 카드 자체는 동일한 형태와 색상인데 금액이 표시돼 있다"며 "금액 착오가 없도록 카드를 보관하다가 지급 직전에 금액 부분에 스티커를 붙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선불카드 발급으로 업무 과부하에 놓인 일선 지자체 담당자들은 스티커까지 붙이느라 더 분주해졌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시에서 매일 3천500장 정도의 카드를 받아오는데 직원들이 일일이 스티커를 붙이느라 다른 업무를 제대로 못 보고 있다"며 "오늘 중에 일이 마무리되면 내일부터는 지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스티커를 구에서 따로 제작한 뒤 일일이 붙여야 하는데 일이 몰릴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지자체 관계자는 "금액이 다른 카드에만 스티커를 붙이면 그 자체만으로 티가 날 수도 있고, 3가지 모두에 다 붙이자니 인력이 없어서 말처럼 쉬운 게 아니다"라면서도 "더는 논란이 없도록 후속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지자체는 스티커 부착 여부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첫날 30만건, 둘째 날 50만건 등 23일 오후 현재까지 80만건 이상의 선불카드 발급 민원이 처리된 것으로 집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