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이스란 보건복지부 제1차관(오른쪽에서 두번째)이 22일 복지부 성평등 자문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22일 성평등 자문위원회를 열고 사회복지사 등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이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당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담 창구를 확대하는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복지부 성평등 자문위는 보건복지 분야 양성평등 정책 수립·추진을 위한 논의 기구다. 정부위원 5명과 민간위원 10명으로 구성되며 정부위원장은 복지부 1차관이 맡는다. 4기 민간위원장으로는 김미옥 전북대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선출됐다.

자문위는 이날 보건복지 분야 성희롱·성폭력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 지원이 시급한 분야를 우선 지원하기 위해 부내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방안, 보건복지 종사자 권익보호지원기관과의 협력 과제 도출 방안 등도 검토했다.

아울러 성별영향평가 과제 선정과 실효적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성별영향평가는 정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그 정책이 성평등에 미칠 영향을 평가해 정책이 성평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복지부는 올해 노인요양시설 확충, 가족돌봄청년 지원 시범사업, 고립·은둔청년 시범사업, 요양병원 간병지원 시범사업, 암 관리 종합계획에 대해 성별영향평가를 진행 중이다.

이스란 복지부 제1차관은 "2023년 기준으로 여성 전체 취업자 중 19%가 보건복지 서비스업에 종사한다"며 "보건복지 정책 전반에서 양성평등 관점을 실현하는 일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오늘 논의된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보건복지 종사자 권익 보호 지원 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상담 창구 확대 등을 위해 관계부처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