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차세대 쇄빙연구선 모항 부산 후보 항만./ 사진=부산연구원

부산연구원은 현 정부가 2029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인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과 관련해 쇄빙연구선 모항으로 부산이 적합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부산연구원은 27일 '북극항로 선점을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모항 부산 유치 전략' 연구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서 연구원은 남극 5대 관문 도시와 북극 관문 도시의 쇄빙연구선 모항 인프라 구축 사례를 분석하고 극지 정책·항만개발·도시계획 등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모항 선정 기준의 우선순위를 도출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제원을 고려해 부산 6개 항만시설을 분석한 결과 부산 국제크루즈터미널과 부산항 북항 제1부두를 최적 후보지로 선정했다.

이어 북극항로 추진 방안으로 '부산시 차세대 쇄빙연구선 유치·지원 조례' 제정, 부산 극지 활동 진흥 기본계획 수립, 북극 경제 이사회(AEC)와의 공동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국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2025년부터 2032년까지 5단계에 걸쳐 쇄빙연구선 모항 기반 조성부터 글로벌 북극항로 연구 거점화까지 중장기 전략을 수립했다.

신현석 부산연구원 원장은 "부산시 차세대 쇄빙연구선 모항을 유치해 글로벌해양 허브 도시로 도약하고 북극항로 개척의 선도도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와 부산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