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란 1차관, 아세안·한중일 사회복지개발 장관 회의 참석

X

회의 중인 이스란(가운데) 복지부 제1차관./ 사진=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는 이스란 제1차관이 지난 29일 화상으로 열린 제8차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사회복지개발 장관 회의에 한국 정부 대표로 참석해 사회 취약 계층을 위한 보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회의는 아세안 10개국과 활발한 사회복지 분야 교류, 협력 증진을 위한 것으로, 3년 주기로 열린다.

이날 회의 주제는 '아세안 공동체의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사회 보호 강화'였다.

이 차관은 ▲ 빅데이터 기반 위기가구 발굴·지원 시스템 운영 ▲ 고령자와 중증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 및 장기요양보험 확대 ▲ 청년·위기가구 맞춤형 상담 및 자립 지원 등 한국의 주요 경험과 성과를 소개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2015년부터 행정 빅데이터 47종을 활용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 운영해 위기가구를 지원해왔다. 이 시스템을 통한 위기가구 지원 비율은 2015년 16%에서 지난해 58.4%로 올랐다.

이날 회의 결과를 담은 공동 성명문에는 ▲ 여성·아동·장애인·고령자 등 취약계층을 위한 포용적 사회 보호 강화 ▲재난·팬데믹(전염병의 대유행) 대응을 위한 지역 차원의 협력 확대 ▲ 사회복지 인력 역량 강화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회 보호 서비스 접근성 제고 등이 포함됐다.

이 차관은 "사회 보호 정책은 공동체의 회복 탄력성과 지속 가능성을 지탱하는 핵심 기반"이라며 "한국은 일본, 중국과 함께 아세안 회원국의 맞춤형 보호 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