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요금 논란 확산에 지자체·상인회, 점검 강화하고 캠페인 나서

X

바가지 상술 논란 일으킨 7만원어치 해삼./ 사진=인터넷 커뮤니티 갈무리

최근 부산 관광지 일부 업소의 '바가지요금'이 전국적인 논란을 일으키자 부산지역 지자체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3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부산 기장군은 다음 주 중 해동용궁사 등 관광지와 전통시장에서 바가지요금을 근절하자는 취지의 전단을 배부할 계획이다.

최근 기장군에서는 관광지인 해동용궁사 인근 한 노점상에서 어묵 1개를 3천원에 판매해 논란이 일었다.

기장군은 전통시장 상인회 등과 협력하는 한편 별도 상인회 조직이 없는 해동용궁사 인근 점포에서는 자체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기장군 관계자는 "관광객을 상대로 바가지 상술을 쓰는 것은 기장군의 이미지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 중구 자갈치시장의 한 업소도 최근 해삼 1접시를 7만원에 판매해 논란을 빚자 인근 상인회가 캠페인을 진행한다.

자갈치 시장 인근에 있는 어패류조합, 신동아시장, 자갈밭상인회, 외식업지부 등 4개 상인회는 오는 5일 바가지요금 근절과 관련한 캠페인을 진행한다.

X

사진= 부산불꽃축제(CG)

최근 전국적으로 바가지요금이 심각해진 가운데 부산국제영화제, 전국체육대회는 물론 부산불꽃축제 등 대형 축제와 행사를 앞둔 부산지역 지자체들은 비상이 걸렸다.

바가지요금과 관련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잇따르자 이재명 대통령도 전날 이에 대해 언급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한 상태다.

지자체들은 현장 점검을 강화하는 한편 가격 모니터링을 주기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11월 부산불꽃축제를 앞둔 수영구는 공중위생 감시원과 식품위생 감시원 등 인력을 투입해 현장을 확인하고 있다.

수영구 관계자는 "축제를 앞두고 매년 숙박, 일반 음식점에 대해 요금표와 손님이 실제 지불한 가격이 맞는지 점검을 벌이고 있다"며 "문제 되는 곳이 많을 경우 현장에 추가로 인력을 투입해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의 대표 관광지인 해운대구 역시 "바가지요금 논란은 해당 지역의 도시 이미지에 치명적인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며 "최근 정부에서 공공의 피해가 크다고 언급한 만큼 현장을 더욱 면밀히 살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