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복지부, 추석 대비 행정정보시스템 점검 회의 개최./사진=보건복지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여파로 보건복지 행정정보시스템 일부가 여전히 중단된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등 사회서비스 바우처 이용과 비용 정산이 중단되지 않도록 조치했다고 2일 밝혔다.
복지부는 이날 오후 정은경 장관 주재로 위기상황대응본부 회의를 열어 소관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 상황과 복구 완료 시까지의 국민 불편 최소화 방안을 점검했다.
복지부는 사회서비스 제공 및 이용에 활용되는 전자바우처 시스템과 관련, 지자체와 사회서비스 제공기관에 수기 처리 절차를 전파해 복구 완료 전까지 서비스 이용과 비용 정산이 지속될 수 있도록 했다.
바우처 결제가 되지 않을 경우 일단 서비스를 제공하고, 해당 비용은 수기 기록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기관과 장애인활동지원사 등 종사자에 지급할 예정이다.
현재 보건복지 주요 시스템 중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이음), 사회서비스정보시스템(희망이음), 대국민 복지포털(복지로) 등은 지난달 29일 복구가 완료돼 정상 운영 중이다.
면허관리시스템은 전날 일부 복구돼 면허 신청, 발급 등의 업무가 재개됐다.
이밖에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취약노인지원시스템, 보건의료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등도 복구 작업이 완료됐다.
복지부는 추석 연휴 기간 온라인 업무 처리가 이뤄지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체 업무처리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정은경 장관은 "추석 연휴 및 시스템 복구 기간에도 국민들이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체 업무처리 절차를 지속 점검·보완하겠다"며 "연휴 기간 중 비상근무체계 가동 및 지자체 등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조속한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강북삼성병원의 지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해 연휴 응급진료 대비 상황을 확인하고 의료진과 근무자를 격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