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UN 참전용사를 위한 묵념 11일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제19회 유엔 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에서 유엔 참전용사·후손, 외교사절, 6.25 참전유공자 등이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유엔기념공원
'유엔 참전용사의 희생을 기리며 일동, 묵념.'
11일 오전 11시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제19회 유엔 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 참가자들은 일제히 고개를 숙였다.
행사에는 유엔 참전용사·후손, 외교 사절, 6.25 참전 유공자, 정부 주요 인사 등 800여명이 참석했다.
같은 시각 부산 전역에서도 추모 사이렌이 울리며 시민들이 묵념하기도 했다.
유엔기념공원 측은 21발의 예포를 쏴 유엔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과 공헌을 기억했다.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이라고도 불리는 이 기념식은 11월 11일 오전 11시 부산을 향해 1분간 묵념하며 6·25전쟁에 참전한 22개 유엔 참전국과 유엔 참전용사 198만명의 숭고한 희생을 기억하는 행사다.
2007년 캐나다 참전용사인 '빈센트 커트니'의 제안으로 시작돼 국가보훈처가 2020년 법정기념일로 지정했다.
이날엔 22개국 한국전쟁 유엔 참전용사들이 묻힌 세계 유일의 유엔묘지가 있는 부산을 향한 묵념이 이어진다.
기념행사는 참전 국기 게양을 시작으로 1분간 묵념, 헌화, 참전국 대표 인사말, 추모 공연, 국가보훈부 장관 추모사, 주제 영상, 헌정 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국방부 의장대와 부경대 학생 등 24명이 엄숙한 분위기 속에 참전 국기를 게양했다.
X
전우가 잠든 묘역 찾아 참배 11일 부산 남구 유엔기념공원에서 열린 '턴 투워드 부산, 제19회 유엔참전용사 국제추모의 날 기념식'에 앞서 캐나다 유엔군 참전용사와 유가족, 후손, 외교사절 등이 전우가 잠든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사진=유엔기념공원
특히 추모 공연에서는 TV 경연 프로그램인 '미스트롯' 출신의 트로트 가수이자 조부와 큰 조부가 유엔 참전용사인 마리아 엘리자베스 리스'가 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를 불러 의미를 더했다.
6·25 전쟁 때 유엔군으로 16개국이 전투 지원, 6개국이 의료 지원으로 참전했다.
총 198만8천400명 중 4만803명 전사하거나 사망했고 10만3천460명이 다쳤다. 실종자는 3천950명, 적국에 포로로 잡힌 이는 5천819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