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제3·4차 회의 개최
지역 국립대병원들 전날 '부처 이관' 반대 입장문
X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제3·4차 회의./ 사진=보건복지부
정부가 보건복지부로 소관 부처를 옮기는 데 반대 중인 국립대학병원들에 대한 포괄적 육성 방안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11일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에 따르면 양 부처는 전날 오후 7시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 협의체 제3·4차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각 권역을 대표하는 충남대병원·경북대병원·전북대병원·강원대병원의 병원장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지역·필수·공공의료의 위기 속 국립대학병원 역할 강화 방향과 소관 부처 이관 후 교육·연구 지원, 규제 개선 등 세부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복지부와 교육부는 지난 회의에서 국립대학병원 임상·교육·연구 포괄적 육성방안을 제시한 데 이어 이날은 세부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소관 부처 이관 후 교육·연구 위축 우려에 대한 국립대학병원의 우려를 최소화하고자 이관 후 교육·연구 강화 방안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이번 협의체와 별개로 복지부와 교육부는 현장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개별 국립대학병원을 직접 찾아가 교수진 등 구성원 대상으로 소관 부처 이관 후 지원 계획을 알리고, 신분 변동 등 사실과 다른 현장 우려에도 설명하고 있다.
이형훈 복지부 제2차관은 "지금은 지역·필수·공공의료 위기의 골든타임"이라며 "국립대학병원과 긴밀히 협력해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할 구체적인 해법을 제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 김홍순 의대교육지원관도 "소관 부처 이관 후에도 국립대학병원의 지원을 위해 양 부처가 계속 협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국 10개 국립대학병원 중 서울대병원을 제외한 9곳은 전날 입장문을 내고, 병원의 소관 부처를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이관하는 데 반대의 뜻을 밝혔다.
국립대학병원협회에 따르면 지난 4∼6일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실시한 설문에서 9개 지역 국립대학병원 교수 1천63명 중 79.9%가 부처 이관에 반대했다. 반대 응답률은 지난 9월 설문 당시(73%)보다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