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부산 국악 축제 공연 모습./ 사진=민선기 겸임기자
(사)한국국악협회 부산지회(지회장 김인숙·이하 부산 국악협회)가 2030 부산 월드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10일 오후 5시 부산 동구 부산시민회관 대극장에서 2023 부산 국악 축제를 열었다.
올해 주제는 우리 모두 잘살고, 우리 모두 평화로운 세상으로 가는 길에 우리 음악이 함께하는 마음을 담아 '홍익(弘益)'으로 정했다. 국악협회 소속 14개 분과(회원 500여 명)가 모두 참여하고, 스태프 포함 출연진만 250명에 이르는 대형 공연이다.
2023 부산 국악 축제 공연 모습./ 사진=민선기 겸임기자
여는 마당은 경기민요문과(위원장 이나영)의 '좌창제비가'로 시작해 시조분과(분과장 정인경)에서 '중허리시조', 무용분과(안무 최창덕)에서 '강신제 승천무','오신제 넋풀이', '송신제 살풀이'를 각각 선보인다. 이어 선소리분과(위원장 신명언)가 '경기앞산타령),'자진산타령'을, 서도민요분과(위원장 하인철)가 '산염불', '각설이타령'을 각각 연주했다.
2023 부산 국악 축제 공연 모습./ 사진=민선기 겸임기자
새로운 마당은 특별 출연하는 가수 신승태가 나와 '창부타령', '세상모르고 살았노라', '사랑불', '부산 갈매기' 등을 노래한다. 이어 풍물분과(위원장 김경화)가 '정주와 꽹과리'를 장을 펼치고, 창악분과(위원장 강은미)는 '사랑가', '방아타령'을, 가야금병창분과(위원장 강명옥)는 '춘하추동','풍년노래'(편곡 변재벽)를 각각 들려줬다.
또 학춤(춤 이광호·학 박승아)과 국악관현악을 위한 '은빛 날개의 꿈'(작곡 박영란·구음 김신영 유시은) 공연과 경기민요 '노들강변', '해운대아리랑', '태동대아리랑' 가락이 이어졌다.
2023 부산 국악 축제 공연 모습./ 사진=민선기 겸임기자
마지막으로 닫는 마당은 부산 국악협회 국악관현악단(지휘 김경수·문예분과위원장, 민속 연희분과장 조위현·해금)이 '비상'(작곡 이준호)을 연주하고, 내원정사유치원 아이들이 출연해 '아리랑'을 함께 부르며 대미를 장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