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분도시 창시자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가 3월 23일 부산청년작당소를 방문해 청년들과 교류하고 있다. /사진=부산

‘15분도시’ 개념을 창안한 세계적인 도시계획 석학 카를로스 모레노(Carlos Moreno) 교수가 지난 23일 부산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15분도시 이론을 실제 도시정책으로 실현한 부산의 사례를 직접 체험하고, 정책 방향과 비전에 대해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카를로스 모레노 교수는 프랑스 팡테옹 소르본 대학교 부교수로, 도시 내에서 기본적인 생활 기능을 15분 이내에 누릴 수 있도록 하는 '15분도시' 이론을 제안한 인물이다. 그는 지난 2022년 온라인 공감 토크와 세계지식포럼 참석을 통해 부산시와 인연을 맺은 바 있다.

이번 부산 방문에서 모레노 교수는 15분도시 정책의 핵심 앵커시설인 어린이복합문화공간 '부산시청 들락날락', 청년 문화 공간 '부산청년작당소', 당감 선형공원(글로벌 디자인 어워드 수상) 등을 둘러보고 시민들과 직접 소통했다. 또 우리동네 사회가치경영센터(동구점) 등을 방문하며 도시공간에 녹아든 시민 중심 도시정책을 체험했다.

24일에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도모헌에서 대담을 진행하며, 부산형 15분도시 정책의 진화된 모습과 도시공간 내 사회적 관계 회복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모레노 교수는 “시민들이 15분도시를 실감하며 생활하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며, “오는 9월 파리에서 열리는 글로벌 콘퍼런스에 부산을 공식 초청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부산이 아시아 지역 15분도시 확산의 허브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부산형 15분도시 정책은 교육, 문화, 예술, 체육 등 다양한 기능을 주민 생활권 내에 배치하고, 도보 15분 내에 자연·관계·활동이 어우러지는 삶을 구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시는 도시 내 앵커시설 확대와 지역 맞춤형 공간 재구성을 통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를 목표로 정책을 추진 중이다.

박형준 시장은 “기후위기와 공동체 해체 등 현대도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15분도시는 세계적인 트렌드”라며 “부산이 한국 최초로 15분도시를 본격 추진해 정책적 성과를 내고 있으며, 앞으로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 국제 확산을 이끌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