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가동 멈춘 기장 해수 담수시설./ 사진=부산시
2천억원을 들여 준공됐지만 주민 반대로 7년째 가동이 중단된 부산 기장군 해수담수화시설이 결국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시설로 활용된다.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은 2009년 착공해 2015년 준공했다. 2009년부터 국비 823억원, 시비 425억원, 민자 706억원 등 사업비만 1천954억원이 들어갔다.
부산시는 당초 바닷물을 역삼투압 여과 방식으로 하루 4만5천t의 수돗물을 생산해 기장군 5만 가구에 공급하려 했다.
하지만 인근 고리원자력발전소의 방사성 물질 유출을 우려한 주민 반대에 부딪혀 제대로 가동하지 못했다.
3년여간 지루한 방사능 수돗물 논란이 이어지며 수돗물 공급이 연기됐고 2018년 1월 결국 시설 가동이 중단됐다.
부산시가 추진한 대규모 정책이 먹는 물 안전성 논란과 지역 사회의 반대에 막혀 좌초한 대표적인 예산 낭비 사례로 꼽힌다.
2천억원짜리 국책사업이 10년 넘게 쓸모없는 고철로 전락했다는 시민단체의 비판이 쏟아졌다.
결국 부산시는 2019년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산하는 물을 먹는 물로 공급하는 방안을 최종 포기하기에 이르렀다.
이후 부산시는 환경부 등과 함께 해수담수화 시설로 원전 주변 지역 산업시설에 공업용수나 산업용수로 공급하는 등 다양한 활용 방안 등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적은 수요와 경제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이렇다 할 대안을 내놓지 못했다.
2022년 환경부는 '기장 해수담수화시설 활용방안 연구용역'을 진행해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로 주변 산업단지에 공업용수를 공급하고 남는 시설은 연구개발시설로 사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했다.
이마저도 800억원이 넘는 시설 개선 비용에다 해수담수화 시설로 생산한 공업용수 생산 단가가 t당 1천694원으로 비싸 쉽지 않았다.
X
기장·일광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수 재이용 계획도./ 사진=부산시
그러던 중 2024년 8월 부산시가 자체로 동부산 산업단지 공급용수 공급방안 용역을 진행하며 해수담수화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이 도출됐다.
기장, 일광지역 하수처리수를 방류하는 대신 기장 해수담수화 시설로 보내 여과를 거친 뒤 동부산 산단에 공업용수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것이라 하수도 요금이 100% 감면되고 낙동강 원수를 사용하지 않아 물이용부담금도 붙지 않아 공급단가를 t당 800원까지 낮출 수 있었다.
기존 t당 2천410원의 비싼 수돗물을 공업용수로 사용하던 동부산 산단 기업이 부담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방법이었다.
부산시는 20년 공급계약 민간투자 방식(BTO)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사업비는 총 799억원이다. 국비 30%, 시비 10%를 제외한 나머지 470억원은 기업 부담인데 결국 사업성 여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현재 포항, 청주 등에 전국 8곳에서 BTO 방식으로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사례가 있고, 산단이라는 확실한 수요가 있어 사업자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