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 수출 대책 2.0' 시행…지방세 납부기한 연장·세무조사 유예

X
미국 관세 부과 앞두고 수출 기다리는 차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일 발표하는 상호관세와 3일부터 부과하는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를 앞둔 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4.1./ 사진=연합뉴스

부산시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고관세 부과에 대응하는 '부산시 비상 수출 대책 2.0'을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오전 자동차 부품 제조사 '이든텍'을 방문해 미국 고관세 부과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전했다.

박 시장은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기업 애로 사항을 들은 뒤 비상 수출 대책 2.0을 제시했다.

비상 수출 대책 2.0은 관세 피해 긴급 대응, 무역금융 지원·물류비 지원 확대, 수출 신시장 개척 지원, 위기 대응체계 구축 등 5개 분야 10대 핵심과제로 구성됐다.

부산시는 우선 미국 고관세 조치로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에 1개 사당 대출한도 최대 8억원의 긴급 운전 자금을 총 1천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향후 관세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에는 지방세 납부 기한 연장, 재산세 징수나 체납처분·세무조사를 유예한다.

연간 수출실적이 3천만 달러 이하 중소기업 5천여개 사에 200만원 한도로 4종의 수출보험료도 지원한다.

시는 물류비 지원에도 나선다.

300여개 사에 수출 거래 비용을 지원하고 미국 현지 협력 공동물류센터를 기존 3곳에서 5곳으로 확대해 신속하게 구매자에게 제품을 공급하도록 돕는다.

코트라가 선정한 해외 진출 유망 6개국 등에서 개최되는 해외 전시회에 참가하고 해외 규격 인증이나 지식재산권 출원에 드는 비용을 1개 사당 600만원 한도로 지원하기로 했다.

이외에 부산경제진흥원, 코트라,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산상공회의소와 '관세 대응 119' 원스톱 상담 창구를 설치해 상주 관세사가 기업 상황에 맞는 상담을 제공한다.

특히 당장 닥친 자동차 관세 부과에 대해 단기적으로 긴급 운전자금과 해외 물류비 등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부산 미래 차 핵심 부품 연구 개발과 수출 주도 미래 차 혁신성장 기반 구축 등 다양한 지원을 한다.

박 시장은 "국가적 경제 안보 시기에 부산시가 부산 기업을 직접 지켜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