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창녕군 도천면 한 축사에서 소 위로 환풍기가 회전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경남지역에 무더위가 연일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2일 부산지방기상청 등에 따르면 2일 경남지역 18개 시군 전체에 폭염 특보가 발령됐다.
밀양, 창녕, 김해, 함안, 거창, 하동, 합천, 함양, 산청, 창원, 양산, 진주, 의령, 거제, 사천, 고성 등 16개 시군에는 폭염 경보가 발효된 상태다.
폭염경보는 최고 체감온도 35도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계속되거나 더위로 큰 피해가 예상될 때 내려진다.
이외 남해와 통영 등 2개 시군에는 폭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무더위는 낮뿐 아니라 밤에도 나타난다.
지난달 19일에는 합천과 밀양, 창녕에 올해 첫 열대야가 발생했다.
이는 기상 관측 이래 경남지역에서 나타난 가장 이른 열대야로, 종전 기록인 2011년 6월 23일(김해·의령 등)보다 4일 빠르다.
이후 열대야는 강우 등으로 나타나지 않다 지난달 28일 밀양에서 다시 관측됐다.
지난 1일에는 창원, 진주, 사천, 함안, 밀양, 거제, 양산, 김해 등에서 열대야가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오후 진주 명석면에서 폭염 특보 속 밭일을 하던 60대 여성이 쓰러져 병원에 이송됐고, 끝내 숨졌다.
경찰은 사망한 A씨 체온이 40도 이상인 점 등을 미뤄 그가 열사병으로 숨진 것으로 추정했다.
민주노총 경남본부는 2일 오전 고용노동부 창원지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폭염에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사업장 감독 등을 강화하라"고 촉구했다.
부산지방기상청은 태평양 고기압이 평년보다 이르게 확장하면서 무더위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남도는 재해구호기금을 투입해 무더위쉼터 8천400여개와 그늘막 등 폭염 저감 시설 1천600여개를 운영한다.
또 폭염에 취약한 노인, 중증 장애인, 기저 질환자 등을 중심으로 관련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앞서 박완수 경남지사는 확대 간부회의에서 "온열질환자와 취약계층 피해를 막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시급하고, 매뉴얼 수준을 넘어선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