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석탄 발전 조기 폐쇄 막으려는 개입의 전조"
X
백악관에서 열린 원전 관련 행정명령 서명식./ 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현재 예정된 발전설비의 폐쇄와 신규 발전설비 도입의 지연이 겹칠 경우 정전 발생이 급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에너지부는 7일(현지시간) '미국 전력망의 신뢰성과 보안 평가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보고서 내용을 요약한 보도자료를 함께 내놨다.
에너지부는 자체 분석에 따르면 "현재의 발전설비 퇴역 일정과 증설 계획이 변경되지 않으면 대부분의 지역이 5년 이내 수용할 수 없는 전력 신뢰성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며 "국가 전력망이 모든 미국인의 생활 비용을 낮게 유지하면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제조업 분야의 예상 수요를 맞출 수 없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예상되는 전력 수요 증가와 맞물려 발전설비의 퇴역은 2030년께 정전 위험을 지금보다 100배 높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약 104기가와트(GW) 규모의 안정적인(기저부하) 발전설비가 제때 대체되지 않은 채 퇴역할 경우 기상 여건이 풍력과 태양광 발전에 유리하지 않을 때 심각한 정전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현재 한 자릿수인 연간 정전 시간이 연간 800시간 이상으로 급증할 수 있으며, 이는 수백만 가구와 기업을 취약한 상태로 내몰게 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2030년까지 104GW 규모의 발전설비 폐쇄를 보완하기 위해 209GW 규모의 신규 발전설비가 도입될 예정이지만, 이 중 안정적인 기저부하 발전원에서 나오는 용량은 단 22GW에 불과하다"고 했다.
또 "설령 발전설비 폐쇄가 전혀 없다고 가정하더라도 분석 결과 몇몇 지역은 정전 위험이 3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단순히 현재 계획된 신규 발전설비만으로는 용량 부족을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보고서는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바를 확인한다. 이전 지도자들이 추구했던 에너지 감산이라는 불안정하고 위험한 길, 즉 석탄과 천연가스 같은 기저부하 전력원의 폐쇄를 강요하는 길을 더는 계속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트럼프 행정부는 에너지 추가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한 모든 형태의 에너지를 지원할 것"이라며 "미국은 미국 에너지의 잠재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 보고서는 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 폐쇄를 막기 위한 광범위한 개입의 전조로 여겨진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