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에 반기 든 한족 이야기…'제국의 저항자들'

X

사진=책과함께

북메이커 = 애덤 스미스 지음. 이종인 옮김

우리가 손에 들고 읽는 책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인 저자가 1490년대 런던에서 활동했던 네덜란드 이민자 윈킨 드워드가 만든 책에서 시작해 2020년 뉴욕 블랙매수 출판사가 만드는 소규모 독립 간행물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제책(製冊)의 역사를 살핀다.

저자가 역사를 풀어내는 방법으로 선택한 건 인물들의 이야기다. 책이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는 데 일조한 18명의 이야기를 묶었다. 저자는 이미 역사 무대에서 잊힌 채 가라앉은 책 장인들의 이야기를 수면 위로 건져 올린다.

가령, 192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에 프랑스 농촌에서 인쇄공으로 일한 낸시 커나드, 18세기 영국 버밍엄에서 인쇄업과 제지업 등에 종사한 존 배스커빌과 그의 아내 세라 이브스 같은 이들이다. 이들은 당대는 물론 역사적으로도 거명된 적이 거의 없는 책 장인들이다.

책은 이들 18명이 겪은 우연한 일과 기묘한 일, 성공과 실패, 즉 시행착오를 겪으며 터득한 제책 방법을 소개한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기술은 발전하기 마련이지만 제책 기술은 그렇지 않았다. 새것이 옛것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비교적 흔했다. 이 때문에 옛날 책을 모방하거나 적어도 참조하는 경우가 상당했다.

20세기 초 토머스 코브던-샌더슨의 도브스 출판사에서 활용한 활자는 1470년 베네치아 사람 니콜라스 젠슨의 활자를 모방한 것이었다. 2000년대 초에 출간된 '야만적 메시아'는 1630년대 나온 책 스타일을 참조하기도 했다.

"래디컬(radical·급진적·근본적)은 '뿌리'를 가리키는 라틴어 라딕스(radix)에서 온 것이다. 그것은 과거에 뿌리를 둔 것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는 한편, 현대적 의미에서 보자면 새로운 것에 대한 점증하는 관심을 가리킨다. 인쇄된 책들은 이런 이중적 의미에서 래디컬하다."

책과함께. 512쪽.

X

사진=성균관대학교출판부

제국의 저항자들 = 이평수 지음.

무협 거장 진융(金庸·김용)의 소설에는 '천지회'(天地會)가 자주 등장한다. '녹정기' 등의 소설에서 천지회의 회주와 회원들은 청나라 황제를 암살하기 위해 이름을 숨기고, 때론 궁정에 잠입해 '한방'을 노리지만 실패한다.

소설에 등장하는 천지회는 실제 있었다. 청나라 시기 '반청복명'(反淸復明), 즉 만주족을 무너뜨리고 한족(漢族)을 일으키기 위해 결사한 비밀 조직이었다. 그런 천지회의 면면은 청나라는 물론 현대까지도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홍콩 폭력조직 삼합회까지 이르렀다는 설도 있다.

그간 중국 비밀결사를 연구해온 성균관대 사학과 교수인 저자가 천지회의 기원과 내부 형성 과정, 외부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해 학술서인 이 책에 담았다. 저자는 상부상조, 반청복명의 정체성 등을 살펴보고, '조직설립→회원모집→입회의식'이라는 결사 조직 과정도 조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