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연 시의원 "단기적 대응 대신 맞춤형 대응체계 구축해야"
X
부산시의회 이승연 의원./ 사진=부산시의회 제공
기후변화로 폭염이 심해지는데도 부산시 폭염 예산은 줄어들고 그나마 시설물 설치에 편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이승연 의원은 15일 제330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심해지는 폭염 재난에 대한 부산시의 획일적이고 단기적 대응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역 맞춤형·데이터 기반 폭염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의원은 "폭염은 기후 요인 중 인명 피해가 가장 큰 재난"이라며 "우리나라도 여름철 평균기온이 상승하고 폭염일수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시 폭염 예산은 2023년 18억8천여만원에서 올해엔 8억8천만원으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며 "폭염 사업도 안개형 냉각수, 그늘막 같은 시설물 설치에 편중돼 있는데, 실효성과 시민 체감도가 매우 저조하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폭염은 단순한 기온 상승이 아닌 인구 밀집과 녹지 부족, 열섬현상 같은 도시 구조와 맞물려 더욱 심각해지는 복합 재난인데도 부산시는 여전히 그늘막, 무더위 쉼터, 생수·선풍기 나눠주기 같은 일회성 대응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 맞춤형 폭염 취약성 지도를 만들어 폭염 예산과 대응시설을 체계적으로 배분하고, 폭염이나 한파, 홍수 같은 기후재난에 대응할 전담 부서를 설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