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이 교육정상화 방안 마련하면 정부는 행·재정적 뒷받침"

X

의대생 1년 5개월만에 학교 복귀 선언 1년 반 가까이 학교를 떠나있던 의대생들이 전격적으로 복귀를 선언한 가운데 13일 서울 시내 한 의대.전날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국회 상임위, 대한의사협회(의협)와 함께 입장문을 내고 "국회와 정부를 믿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 및 의료체계 정상회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사진=교육부

교육부는 15일 "대학과 함께 복귀 학생들을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해 의대 교육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날 대변인실 공지를 통해 "교육부는 의대생들의 복귀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교육부는 "대학은 교육 여건과 학사 상황을 고려해 복귀한 학생들이 충실하게 교육받을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는 행·재정적 뒷받침을 하겠다"고 했다.

이어 "이 과정에서 교육부와 대학은 의대 교육의 질이 훼손되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이미 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들도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겠다"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학생들은 예비 의료인으로서 성숙하고 책임 있는 자세로 학업에 임하기를 바란다"며 "교육부는 훌륭한 의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대학과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지난 12일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전원 복귀'를 선언했을 때도 환영 메시지를 낸 바 있다.

다만 "복귀 시기와 방법 등을 포함한 복귀 방안은 대학과 관계부처와의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했다.

당장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쉽지 않다는 기조로 읽혔다.

교육부가 이날 '의대교육을 조속히 정상화하겠다'고 발표한 배경에는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의대생 복귀선언을 환영하며 의료공백 보완대책을 주문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아울러 교육부가 그간 불가 방침이었던 학사 유연화까지도 의대교육 정상화의 한 수단으로 고려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전날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학사 유연화 여부와 관련해 "대학별 복귀 상황과 교육 여건 등 다양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