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대화 가능성' 대비 주목…유엔사 요청 따른 조치

X

사진= 군사분계선 지키는 국군 장병

유엔군사령부와 통일부가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즈음해 외부 인사의 판문점 특별견학을 중단하기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10월 말에서 11월 초에는 통일부가 실시하는 판문점 특별견학은 없다"고 밝혔다.

통일부는 판문점 출입 승인 권한을 지닌 유엔사와의 조율 하에 내국인 '정책 고객' 등을 대상으로 특별견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최근에는 매일 2회, 일일 총 40명 정원으로 운영 중이었다.

유엔사도 이 기간 외국인 대상의 특별견학을 시행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번 특별견학 중단 조치는 유엔사 주도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정부 소식통은 연합뉴스에 "유엔사 요청에 따라 협의해 국내 특별견학도 그 기간 중단하기로 조율했다"고 설명했다.

유엔사와 통일부가 APEC 기간 판문점 특별견학을 실시하지 않는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 북미대화 가능성과 맞물려 주목된다.

2019년 6월 당시 깜짝 북미회동과 이를 위한 사전 접촉이 모두 판문점을 무대로 이뤄진 만큼, 이번에도 만일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에 실무적으로 대비하는 차원일 수 있다는 것이다.

미 행정부 내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아시아 순방 때 김 위원장을 만나는 문제에 대해 비공개로 논의가 이뤄진 바 있다고 CNN 방송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번 조치에 대해 "(북미대화 가능성에 대비한) 몇 가지 징후를 보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X

사진= 출발하지 못하는 판문점 일반견학버스

통일부와 유엔사는 특별견학 중단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구병삼 대변인은 중단 사유에 대해 유엔사로 문의하라면서 "판문점 자체가 유엔사가 관할하는 지역이기 때문에 특별견학에 대한 모든 권한은 유엔사가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일각에서는 북미 대화 가능성보다는 각국 정상들이 대거 방한하는 상황에서 북한의 돌발 행동으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을 줄이는 차원에서 외부인의 판문점 출입을 통제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