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신규 배치 국가직 249명 중 약 40% 임용 포기…"업무 합리화와 처우 개선해야"

X

사진= 근로복지공단

고용노동부 산하기관인 근로복지공단에서 업무 과다와 처우 불만 등의 이유로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이직한 사례가 최근 5년간 8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의 복지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정작 자사 직원들의 복지는 챙기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소희 의원이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입사자 중 근로복지공단 근무 경력이 있는 인원은 총 855명에 달한다.

연도별로 보면 ▲ 2020년 157명 ▲ 2021년 199명 ▲ 2022년 153명 ▲ 2023년 156명 ▲ 2024년 190명으로 매년 150∼200명가량이 꾸준히 건보공단으로 이직한 셈이다.

건보공단과 근로복지공단은 입사 시 시험 보는 과목이 유사해 이직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게다가 건보공단으로 이직할 시 근로복지공단의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어 근로복지공단 직원에게는 인사상 이점도 있다.

이에 따라 근무 환경이 낫고 업무 강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건보공단으로의 이직이 잇따르자, 근로복지공단 내부에서는 '건강보험공단 사관학교'라는 자조 섞인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

특히 5년 차 안팎의 숙련된 실무 인력이 주로 빠져나가고 있어 현장 대응력과 조직 내 사기 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한편 고용노동부 본부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올해 노동부에 신규 배치된 국가직 9급 공무원 249명 중 97명(38.9%)이 임용을 포기하는 등 노동부는 업무 과다 및 승진 적체 등의 이유로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

노동부는 내년까지 총 1천300명(산업안전 950명·근로기준 350명)의 근로감독관을 채용할 방침이나, 승진과 처우 등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인력 이탈이 심화하고 전문성이 약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소희 의원은 "이직을 막을 유일한 길은 업무 합리화와 처우 개선"이라며 "근로복지공단이 복지를 챙기지 않으면 '건겅보험공단 사관학교'란 오명은 계속될 것이고, 노동부 또한 유능한 인재들을 민간 등에 계속 뺏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