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부산지역 강소기업의 60% 이상이 중견기업으로 진입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세제혜택 축소가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부산상공회의소가 중견기업 진입의 매출액 기준을 70% 이상 달성한 지역 강소기업 116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의 63.9%는 중견기업 진입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부담 요인으로는 세제혜택 축소가 57.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공공조달시장 참여 제한 15.1%, 노동·환경·안전 등 규제 부담 증가 12.8%, 정책금융 축소 8.1%, 판로확대 지원 축소 4.7% 순이었다.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중견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60.5%), 중견기업 전용 정책자금 및 금융지원(31.4%), 규제 완화(5.85)가 제시됐다.
업종별 중견기업 진입 매출액 기준은 운수업·정보통신업 1천억원, 건설업ㆍ도소매업ㆍ제조업 1천200억원, 1차금속ㆍ전기장비 등 일부 제조업 1천800억원 수준이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중견기업으로의 도약은 기업의 신뢰도와 이미지 제고, 자금 조달, 투자 유치 등 여러 면에서 이점도 있지만, 기업들은 정책지원 혜택 축소 부담을 느낀다"면서 "후보기업들의 중견기업 진입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