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사진=부산

부산시는 주택시장 전반의 회복 움직임에 따라 미분양 물량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지난25일 밝혔다.

지난 4∼5월부터 동구, 남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에서 미분양 물량이 점차 해소되고 있다.

5∼7월에는 동구, 남구, 수영구, 기장군에서 50가구 이상의 미분양 물량이 해소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22년 6월부터 이어지던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이 보합세로 전환되고 일부 구에서 매매가가 상승세로 돌아선 점, 지난 1월 이후 아파트 매매량이 증가한 점, 지난해 3월 이후 전셋값이 지속 상승하고 있는 영향으로 보인다고 부산시는 분석했다.

최근 일부 고분양가 물량이 대규모 공급되면서 일시적으로 미분양 주택 수가 증가하고 후분양 물량으로 인해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가 소폭 증가했다.

하지만 주택시장 정상화 분위기와 계약률 증가로 향후 집계치에서는 해당 미분양 주택 수가 차츰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것이 부산시 예상이다.

강정규 동아대 부동산대학원장은 "거시경제 회복이 다소 늦어지지만 지속적인 금리 인하, 수도권 규제에 따른 풍선 효과,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움직임 등 시장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