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권리포럼 개최…디지털 환경 속 아동보호 모색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사례가 범람하는 가운데 정부가 제3차 아동정책 기본계획(2025∼2029)에 디지털 시대 속 아동권리 증진 방안을 담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은성호 보건복지부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은 18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6회 아동권리포럼에서 "정부는 디지털 시대 속 아동권리 증진방안을 제3차 기본계획에 담고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3차 아동계획은 '모든 아동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성장할 수 있는 나라'라는 비전 아래 ▲ 아동의 건강한 성장·발달 지원 ▲ 취약·보호 아동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 아동과 함께하는 사회 조성을 주요 과제로 추진한다.
정부는 이달 중 총리 주재로 아동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제3차 아동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날 포럼에서는 디지털 환경이 아동권리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아동 보호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재신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AI와 디지털 환경이 아동 권리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아이들은 '디지털 네이티브'로 태어나지만, 온라인 공간은 아이의 발달 수준에 맞게 설계돼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디지털 시대에서 아이들은 디지털 시민으로서 참여와 표현의 권리가 강조돼야 한다"며 "아동의 디지털 권리를 위한 성인들의 적극적인 배움과 참여가 필요한 만큼 성인들도 디지털 리터러시(문해력)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