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대한민국 지속 성장 위한 피할 수 없는 국가 생존전략"

X

발언권 요청하는 시민들 25일 부산 부경대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타운홀미팅 '부산의 마음을 듣다' 간담회에서 시민들이 손을 들어 발언권을 요청하고 있다./ 사진=부경대

부산시 등이 지속해 요구했던 해양수산부 관련 공공기관 이전이 이재명 대통령의 공식 발언으로 탄력을 받게 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25일 부산 국립부경대에서 열린 타운홀미팅 간담회에서 "해수부 산하기관, 관련 기업들, 공기업, 공기업 산하기관, 출자·출연기관이 최대한 신속하게 부산으로 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행정조치뿐 아니라 해사법원이나 동남권 투자은행 설립도 신속하게 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가균형발전은 시혜, 배려나 좀 어려우니까 도와주자는 차원이 아니라 대한민국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려면 피할 수 없는 국가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부산시와 부산 시민단체들은 해수부 부산 이전을 환영하면서도 관련 기관이나 공기업 등도 함께 이전해야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이날 이 대통령의 발언은 해수부 관련 기관 부산 이전 추진 관련 공식 석상에서 나온 첫 언급이라는 게 부산시 설명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대통령이 직접 해수부 관련 기관을 신속하게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말씀해 놀랐다"며 "행정적인 조치와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거론되는 해양 분야 통합 이전 대상 공공기관은 11개다.

서울에는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해운조합, 한국해양재단 등 6개다.

세종에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이 있고 인천에 한국수상레저협회, 극지연구소, 경기도 안양에 한국해사위험물검사원이 있다.

이 기관들이 부산으로 올 경우 1차 공공기관 이전 때 본사를 옮긴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립해양조사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 업무, 문화체육관광부의 해양레저, 환경부의 해상국립공원, 행정안전부의 무인 도서 관리, 국토교통부의 국제 물류 업무의 해수부 통합 문제에 대해서도 지속해서 건의하기로 했다.ㅁ